반응형 전체 글68 Product Manager - 킥오프 미팅(Kick-off meeting) 킥오프 미팅(Kick-off meeting) 프로젝트(Project)를 시작하기 전 킥오프(Kick off meeting) 미팅은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Product Manager는 Product 과제를 진행 시 다양한 유관부서의 이해관계자들과 킥오프 미팅을 통해서 앞으로 무엇을 진행하게 될지 목표를 명확하게 한다. 이를 통해 공감하고 같은 목표를 위해 정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Product를 개발하기 위한 Product 팀 내 킥오프를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 PM 바이블이라 불리는 책 '제품의 탄생'(2023.05.04 - [PM이 읽는 책] - 제품의 탄생 - 프러덕트 관리의 모든 것) 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았다. 관계자 간의 킥오프 미팅 목적 Project와 Pr.. 2023. 5. 16. Product Manager - 회고(retrospection) 회고(retrospection)란? 회고: Product 팀원끼리 지금까지 실적을 되돌아보고, 개선을 위해 논의하는 것. 팀원이 서로에 대해 갖고 있는 가설을 검증하기에 유효한 채널. Product 조직은 Sprint 종료 시(Sprint 회고), Project 종료 시(Project 회고), 월 단위(Monthly 회고), 분기 단위(분기 회고) 등 다양한 시점에 회고를 진행한다. Product Manager는 회고를 통해 강력한 팀을 만들 수 있다. PM 바이블이라 불리는 책 '제품의 탄생'(2023.05.04 - [PM이 읽는 책] - 제품의 탄생 - 프러덕트 관리의 모든 것) 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았다. 회고시 주의할 점 문제 vs 우리들 회고는 누군가의 잘잘못을 가리기 위한 자리가 아니다.. 2023. 5. 15. Product Manager - 5가지 소통의 기술 PM의 원활한 팀 소통을 위한 다섯 가지 기술 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능력 중 항상 빠지지 않는 능력이 바로 소통(Communication) 능력이다. 그만큼 PM은 많은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Product를 만들고 관리한다. PM이 구성한 팀이 Product을 만들어 나갈 때 꼭 필요한 5가지 기술을 정리해 보았다. 이 다섯 가지 기술은 PM의 바이블이라 불리는 책 '제품의 탄생'(2023.05.04 - [PM이 읽는 책] - 제품의 탄생 - 프러덕트 관리의 모든 것)에서 정의되어 있다. 원활한 팀 소통을 위한 다섯 가지 기술 문서화 코칭 퍼실리테이션 프레젠테이션 협상력 문서화(documentation) 첫 번째는 문서화이다. 많은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문서화는 매우 중요하다. .. 2023. 5. 14. PM(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6가지 역량 PM(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6가지 역량 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역량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정리할 6가지 역량은 PM의 교과서이자 바이블이라고 불리우는 도서 '제품의탄생 (2023.05.04 - [PM이 읽는 책] - 제품의 탄생 - 프러덕트 관리의 모든 것)' 에서 정의된 내용이다. PM 스스로 내가 필요한 역량을 어느정도 갖추었는지 판단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는데 이 6가지를 기반으로 해보면 좋겠다. 아이디어 창출 6가지 역량에는 순서가 있다. 그중 첫번째가 아이디어 창출인 것에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PM은 Product를 통해 더 나은 사용자 가치와 사업수익을 가지고 오기 위해 아이디어를 창출한다. 이를 적절히 잘 하기 위해서는 Product에.. 2023. 5. 9. Product Manager - B2B vs B2C Product의 차이 B2C 프로덕트 vs B2B 프로덕트 Product Manager 가 알아야 할 B2C 프로덕트와 B2B 프로덕트의 차이, 그리고 PM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책 제품의 탄생을 기반으로 정리해보았다. 각각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그에 맞게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좋다. 막연하게 PM은 이래야 한다라는 수많은 말들에 내가 하는 일에는 해당 안되는 것 같은데 라는 의문을 품었던 B2B 프로덕트 담당자들에게는 참고가 많이 될 것 같다. 다만, B2C 서비스를 하고있지만 Product 조직이 크면 담당하는 세부 도메인에 따라 B2B 프로덕트의 특징을 가진 Product을 기획하는 PM도 존재할 것이다. (예를들어 중개 플랫폼의 공급자 사이드) B2C (Business to Customer) 프로덕트 과제 해결 영역.. 2023. 5. 7. Product 수명주기와 기술 수용주기 Intro PM(Product Manager)라면 프로덕트(Product)의 수명주기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햐 한다. 그리고 Product 수명주기에 적합하게 관리하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Product 수명주기란 Product와 Service가 오픈한 뒤 시간이 지나며 어떻게 시장에서 수용되는지를 나타낸다. PM이 Product를 시장에 오픈한 뒤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사용자들로부터 사랑을 받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소수의 사용자로 시작하여 점차 성장해나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내가 관리하는 Product의 수명주기와 기술 수용주기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도록 해보자 프로덕트의 수명주기 Product의 수명주기는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 그리고 '연명기' 다섯가지로 구.. 2023. 5. 6.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