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의 원활한 팀 소통을 위한 다섯 가지 기술
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능력 중 항상 빠지지 않는 능력이 바로 소통(Communication) 능력이다. 그만큼 PM은 많은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Product를 만들고 관리한다. PM이 구성한 팀이 Product을 만들어 나갈 때 꼭 필요한 5가지 기술을 정리해 보았다. 이 다섯 가지 기술은 PM의 바이블이라 불리는 책 '제품의 탄생'(2023.05.04 - [PM이 읽는 책] - 제품의 탄생 - 프러덕트 관리의 모든 것)에서 정의되어 있다.
원활한 팀 소통을 위한 다섯 가지 기술
- 문서화
- 코칭
- 퍼실리테이션
- 프레젠테이션
- 협상력
문서화(documentation)
첫 번째는 문서화이다. 많은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문서화는 매우 중요하다. 모든 이해관계자와 일일이 의사소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PM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받기도 한다. 문서 내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비전 - 왜 이 Product를 만드는가
- 전략 - 우선순위와 할 일/하지 말아야 할 일
- 콘셉트 - 시안, 논의를 수월하기 하기 위해
- 로드맵 - 어떤 순서로 만들어나갈지 예상할 수 있도록 (약속은 아님을 명심)
- 요건 - 개발되어야 할 개별 기능 등 실제 모습을 정리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조직에서 통일된 양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렇게 작성된 문서를 리뷰하는 것도 중요하다. 리뷰를 통해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간다거나, 다양한 피드백을 받아 완성도를 높인다. 실제 구현하는 개발자, 디자이너와는 리뷰를 통해 글 만으로는 전달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서로 공감하고 이해도를 높인다.
코칭(coaching)
팀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PM은 적절한 코칭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직접 무언가를 가르친다는 의미보다는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상대의 필요한 능력치를 이끌어내고 상대가 가지고 있는 전문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대의 말을 잘 듣는 것 즉, '경청'이 코칭의 비법이다.
경청의 비법
- 반영적 경청: 거울 듣기/ 메아리/ 바꿔 말하기/ 요약
- 질문하기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퍼실리테이션: 집단의 합의 과정과 공동 작업, 학습 등을 지원하는 것
PM이 대표적으로 퍼실리테이터로 역할을 해야 하는 상황은 '회의'가 있다. 회의 시 퍼실리테이터는 중립을 지킬 필요가 있다. 회의는 꼭 필요할 때 진행되어야 하며, 꼭 필요한 사람들이 모여 의미 있는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 가치 있는 회의를 만드는 중요한 역할로, 이 역할을 잘하는지를 보고 구성원들은 PM의 역량을 판단하게 된다.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
다수의 청중에게 PM의 의견을 전달하는 자리이다. 정해진 시간 동안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프레젠테이션의 본질
- 상대를 이해시키기
- 상대의 공감을 유도하기
- 상대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기
이와 같은 본질을 달성하기 위한 상대의 프레젠테이션 참가 목적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하면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의 생각으로 발표자의 목적과 청중의 목적을 모두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좋은 프레젠테이션은 많은 반복 연습을 필요로 한다.
프레젠테이션 기법 PREP
- 결론(Point)
- 이유(Reason)
- 사례(Example)
- 다시 한번 결론(Point)
스토리텔링(storytelling)
- 청중에게 익숙한 내용부터 시작
- 예상치 못한 내용
- 핵심 메시지 전달
- 과도한 정보는 No
- 구체성과 신뢰성
협상력
이해관계자들 간의 이해의 충돌이 발생하는 Product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협상이 필요하다.
흔히들 의견 조율이 어렵다는 말을 한다. 조율보다는 협상을 더 우선시해야 한다. 공동의 목표와 가치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협상에 임하는 것이 좋다. 이 과정에서 의견을 너무 강력하게 피력하는 것은 이후 관계에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높은 협상력을 갖기 위해서는 PM이 사전에 영향력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Product Mana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duct Manager - 킥오프 미팅(Kick-off meeting) (1) | 2023.05.16 |
---|---|
Product Manager - 회고(retrospection) (1) | 2023.05.15 |
PM(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6가지 역량 (1) | 2023.05.09 |
Product Manager - B2B vs B2C Product의 차이 (1) | 2023.05.07 |
Product 수명주기와 기술 수용주기 (1) | 2023.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