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킥오프 미팅(Kick-off meeting)
프로젝트(Project)를 시작하기 전 킥오프(Kick off meeting) 미팅은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Product Manager는 Product 과제를 진행 시 다양한 유관부서의 이해관계자들과 킥오프 미팅을 통해서 앞으로 무엇을 진행하게 될지 목표를 명확하게 한다. 이를 통해 공감하고 같은 목표를 위해 정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Product를 개발하기 위한 Product 팀 내 킥오프를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다. PM 바이블이라 불리는 책 '제품의 탄생'(2023.05.04 - [PM이 읽는 책] - 제품의 탄생 - 프러덕트 관리의 모든 것) 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았다.
관계자 간의 킥오프 미팅
목적
- Project와 Product의 목적과 전체 그림 공유
효과적인 공유를 위해 PM은 프레젠테이션과 스토리텔링을 진행한다. 단순히 자료 공유가 아닌 비전과 미션 공유가 필요하다. - 팀원 상호 간 이해
소통을 잘하기 위해서, 좋은 팀워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팀원 상호 간의 이해가 중요하다. 서로를 소개하고 친밀감을 쌓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팀 혹은 프로젝트에 이름을 붙이는 것도 소속감을 올리고 팀워크를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일 수 있다. - Project와 Product 개발 시작 전 필요한 합의
여러 이해 관계자들로 이루어진 킥오프에서 사전에 필요한 합의사항들이 있을 수 있다. 프로젝트, 프로덕트마다 합의해야 할 부분은 제각각일 수 있다. 사전에 기본적인 자료를 공유한다면 합의가 필요한 내용들을 참여자들이 미리 고민해 보고 킥오프 미팅에 참석할 수 있을 것이다.
개발 진행 방향에 대한 킥오프 미팅
개발 구성원 혹은 개발조직과 어떻게 개발을 진행할지 합의하고 공유하는 킥오프미팅이다. 보통 PM이 적극적으로 발언하거나 소통을 촉진하지 않는다.
- 개발 방법론: 폭포수(waterfall), 애자일(agile) 등 개발 방법론과 PM이 어떻게 관여할지 정리
- 진행방식: 개발자 역할 분담, 코드리뷰 방식, 배포 주기 등
- 작업량 추산과 완충 시간: PM이 의뢰한 작업량 추산, 완충시간 등
- 개발 종료 시기에 대한 정의: 완료 목표 일정, PM이 확인할 수 있는 시점, 고객에게 전달되는 시점 등
- 프로덕트별 특성: 기존 Product와의 차이점, PM의 차후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 고려해야 할 부분
- 대략적인 설계와 담당자: 데이터 흐름, 서버 구성 등 대략적인 설계와 담당자 정보를 파악
반응형
'Product Mana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duct 조직의 학습(팀 스터디) (1) | 2023.05.19 |
---|---|
Product Manager - 인셉션 덱(inception deck) (1) | 2023.05.17 |
Product Manager - 회고(retrospection) (1) | 2023.05.15 |
Product Manager - 5가지 소통의 기술 (0) | 2023.05.14 |
PM(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6가지 역량 (1) | 2023.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