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duct Manager

PM(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6가지 역량

by Rocket Launch 2023. 5. 9.
반응형

PM(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6가지 역량

PM에게 필요한 6가지 역량

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역량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정리할 6가지 역량은 PM의 교과서이자 바이블이라고 불리우는 도서 '제품의탄생 (2023.05.04 - [PM이 읽는 책] - 제품의 탄생 - 프러덕트 관리의 모든 것)' 에서 정의된 내용이다. PM 스스로 내가 필요한 역량을 어느정도 갖추었는지  판단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는데 이 6가지를 기반으로 해보면 좋겠다.

아이디어 창출

6가지 역량에는 순서가 있다. 그중 첫번째가 아이디어 창출인 것에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PM은 Product를 통해 더 나은 사용자 가치와 사업수익을 가지고 오기 위해 아이디어를 창출한다. 이를 적절히 잘 하기 위해서는 Product에 자체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어야 하고, Product 외부의 환경의 정보에도 항상 부지런하고 민감하게 파악해야한다. 이 아이디어 창출로부터 Product는 시작되고 PM의 역할도 시작이 된다.

기획

첫번째 아이디어 창출단계에서 해당 아이디어를 실행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기획 역량이 요구된다. Product Manager를 업계에서 기획자라고 많이 불리우는 이유가 이 단계이다. 기획 단계에서는 모든 아이디어를 다 실행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우선순위를 매기는 것 부터 중장기 Road Map을 작성하고 목표를 정의하는 업무가 이 기획단계에 포함된다.

실행

PM은 Product의 핵심부터 실현까지 모든 단계에 대해 책임을 진다. 구체적으로 앞선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구현해내는 단계이다. 기본적인 Product 개발 프로세스에 대해 이해는 필수이다. 개발자나 디자이너의 전문 영역에 범접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함께 대화하고 질문하고 의견을 줄 수 있는 수준은 필요하다. 더 나아가 실현을 시키는 단계에서 부딫히는 수많은 문제들을 헤쳐나갈 수 있는 실행력이 필요하다.

가설검증

위의 모든 단계가 결국 가설을 세우고 그걸 검증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PM은 가설 수립과 검증을 반복한다. 가설을 세우고 빠르게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목표에 접근하기 위한 답을 찾아간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측정 가능한 지표를 정의하고 데이터를 통해 논리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리스크(Risk)관리

앞선 아이디어 창출, 기획, 실행하는 단계를 통해서 Product가 오픈될때 어떤 리스크(Risk)가 있을지 예상해야 한다. 사회적 인식, 법적 이슈, 경쟁상황 등으로 인해 매력적인 Product가 지속불가할수 있다. 다시말해 지속 가능한 Product를 만들기 위해서는 Risk를 미리 예상하고 Hedging(제거, 방어)할 수 있어야 한다. 반면 리스크를 너무 피하려고만 해도 안된다. 속담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담글까' 처럼 아무것도 하지 못하거나, 진행 속도에 큰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PM에게는 적절하게 리스크를 줄이고, 또 예상하여 방안을 마련하는 능력이 필요로 된다.

팀 빌딩

위 모든 과정을 PM은 혼자 하지 않는다. Product 조직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과 협업하여 Product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한다. 이러한 단계에서 PM은 Product의 중심이 되어 모두를 통솔한다. 모든 일이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관계(Relationship)가 매우 중요하다. PM은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같은 소프트스킬(Soft Skill)과 기술적인 이해도와 같은 하드스킬(Hard Skill)을 통해 팀을 이끌고 목표를 이루어 나간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