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리서치, 분석에 대한 방법론 적인 것을 여기서는 다루지 않는다. 다만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어떠한 리서치 하고있고, 왜 해야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PM이 이런것 까지 해야하나요? 모든 PM이 해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잘하는 PM이라면 그리고 Product을 제대로 Managing하려면 꼭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리서치
- 고객 분석(Customer, User)
모든 Business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고객(Customer)을 뽑는다.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 역시도 당연히 고객을 분석해야한다. 우리의 고객은 어떤 고객이고 이 고객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Target 고객을 명확히 알고 그들을 분석해야한다. 이러한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서비스가 필요하고, 이러한 고객은 이런 걸 원한다는 것을 발견해야 하자.
이 고객을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은 사용자(User)라고 부른다. Product(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User). 즉 사용자(User)의 경험(Experience)인 UX의 기본이 고객(Customer) = 사용자(User) 분석이다.
- 시장 분석(Market)
내가 Managing 하는 Product가 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려면 시장 조사는 당연한 것이다. 시장은 현재 어떤 상황이고 어떠한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우리가 기존에 하고 있는 서비스에 어떤 기능이 추가되면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까?
이러한 시장 분석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전략(Strategy)에서 혹은 Consulting에서 많이 다루는 분석 방법론(Business Framwork)을 배우고 이해해두면 도움이 된다.
- 타서비스 분석 (Bench Mark)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거나 기획을 구체화하는데 있어서 경쟁사의 서비스나 기타 다른 서비스들을 참고하는 경우는 매우 흔한 일이다. 동종 업계라고 분류될 수는 없어도 유사한 기능이나 사용 경험을 제공하는 경우는 많다. (예를 들어 주문서, 문의 하기 등)
좋은 사례(best practice)를 참고하는 것은 적어도 기존의 다른 서비스보다 좋지 않은 경험을 제공할 가능성을 현저히 낮춰준다. 수많은 모바일 서비스가 수많은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내가 고민하고 있는 것을 먼저 고민한 다른 PM의 도움을 받아 최선의 방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Bench Mark 할 대상을 필요할때 찾아보면 정작 그떈 Bench Mark 할 대상을 찾기가 쉽지 않다. 좋은 PM이라면 일상생활에도 요즘 핫한 서비스, 경쟁사 서비스, 기타 사용자 경험이 좋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많이 경험해두는 것이 좋다.
'Product Mana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duct Manager - B2B vs B2C Product의 차이 (1) | 2023.05.07 |
---|---|
Product 수명주기와 기술 수용주기 (1) | 2023.05.06 |
PM(Product Manager)은 요구 사항대로 개발할 수 있게 정리해주는 사람이 아니다. (1) | 2023.02.08 |
PM(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역량과 채용, 면접, 이력서 팁 (0) | 2023.02.05 |
PM(Product Manager)은 무얼 하는 사람일까? 2편 'PM이 하는 일' (0)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