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어떤 직업인지 어설프게 아는 사람들은 현업(=B/U=Business Unit(마케팅, 영업, 사업부서 등))의 요구 사항을 정리해서 화면 기획서 만들고 개발자와 소통하는 사람 정도로 잘 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대게는 Tech기업과는 거리가 먼 기업들, Out Sourcing으로 Product을 제작하는, 웹/앱 서비스를 사업의 핵심으로 생각하지 않는 기업에서 일하는 분들이 대부분 이렇게 이해하고 있다.
이렇게 이해하고 있는 조직에서는 현업에서 서비스를 '기획'한다. 어떤 서비스를 만들지는 이미 정해졌다. 그러나 개발자가 이 문서를 보고 개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 같으니 우리가 원하는 대로 개발될 수 있도록 화면 정의서(스토리보드)따위를 만들어주길 원한다. 그리고 기획서(화면정의서)가 완성되면 공유를 해주길 원하고 의견을 덧대기도 한다.
실제로 이런 경우 Product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Product에 대한 이해,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Managing을 하는 것이 아닌 여러 요청들을 그냥 다 담는 그저 그렇고 그런 서비스가 탄생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Tech 기업에서 조차, Product Manager라는 직군이 명확히 있는 기업에서 조차도 요구 사항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Product을 만드는 PM들도 존재한다.)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의 역할에는 분명 사업적 요구 사항에 맞추어 Product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 하지만 위의 예시 같은 그저 그런 Product(제품)이 아닌 시장에서 인정받는 괜찮은, 그리고 좋은 Product을 만들기 위해서는 PM은 제대로 '요구 사항 분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요구 사항 분석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주도(Driven)해서만 Product와 관련된 개발을 하는 것은 아니다. 매우 조그마한 스타트업(Start Up)에서는 PM이 곧 Product 이해관계자의 전부일 수 있으나 조직이 크면 클수록 굉장히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존재한다.
따라서 조직 내의 다양한 이해관계자(CEO, 사업조직, 영업조직, 마케팅조직, MD조직, 다른 PM 등)로 부터 Product에 대한 요구 사항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크게는 신규 서비스가 될 수 도 있고, 신규 기능을 추가해 달라는 요구 사항 그리고 작게는 조그마한 개선 사항이 있을 수 도 있다.
이러한 이해관계자를 조직에 따라 B/U (Business Unit)이라고 부르거나 B/O(Business owner)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반대 개념으로 P/O(Product Owner)란 용어를 쓰기도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은 만들어 달란 대로 만들어 주기 위해 있는 존재가 아니다. 요구 사항의 넘어서도 봐야 한다. 근복적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것인지,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 사항대로 하는 것이 최선일지, 어쩌면 Product이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 해결해야 하는 것은 아닐지?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그게 정말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맞는지?
그리고 이 요구 사항 분석을 토대로 현재 이 Product의 구조, 사용자, 사용성, 우선순위, 리소스 등 모든 관련 요소를 고려하여 '최선'의 방향을 제시하고 기획할 수 있어야 좋은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가 될 수 있다.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은 누구보다 본인이 관리(Managing)하는 제품(Product)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B/U는 PM보다 제품(Product)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물론 본인 기업의 Product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없이 영업, 마케팅하는 사람들은 반성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요청하는 수준도 떨어진다. 당연한 것이고 그래서 요구 사항을 분석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반대의 아주 안 좋은 케이스도 있다.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본인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요구 사항을 주는 쪽에서 다 정해주길 원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면 굳이 PM이 필요할까?
'Product Mana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duct 수명주기와 기술 수용주기 (1) | 2023.05.06 |
---|---|
PM(Product Manager)의 리서치 (0) | 2023.02.08 |
PM(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역량과 채용, 면접, 이력서 팁 (0) | 2023.02.05 |
PM(Product Manager)은 무얼 하는 사람일까? 2편 'PM이 하는 일' (0) | 2023.02.05 |
PM(Product Manager)은 무얼하는 사람일까? 1편 'PM의 정의' (0)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