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 는 무얼 하는 사람일까? 1편' 에서는 PM(Product Manager)라는 직무에 대한 정의를 해보았다.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 는 무얼하는 사람일까? 1편
Intro IT기업에서 일하는 Product Manager(제품관리자)이라는 직무는 회사마다 부르는 방식도 다르고, 비슷하지만 각기 다른 역할을 부여받는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정의하기 힘든 직무이다. 꽤 오랜
pmview.tistory.com
이번 2편에서는 이어서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하는 일들을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하는 일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하는 일은 회사별로도 매우 다르며, 같은 PM 직무지만 회사 내에서도 부서별로 하는 일이 조금씩 다른 경우가 많다.
아래는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하는 일을 약간의 Product 생애주기 순서를 기반으로 정리해본 것이다.
리서치
참고)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의 리서치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의 리서치
Intro 리서치, 분석에 대한 방법론 적인 것을 여기서는 다루지 않는다. 다만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어떠한 리서치 하고있고, 왜 해야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PM이 이런것 까지 해
pmview.tistory.com
Product의 사용자 혹은 우리 서비스의 고객에 대한 리서치, 시장에 대한 리서치(내외부 환경 분석 등), 경쟁사 서비스에 대한 리서치 등을 통해 우리 Product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나 개선 사항들을 도출 할 수 있다. 업계 동향이나 소비자, 트랜드에 대한 다양한 뉴스를 구독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요구 사항 분석
참고)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은 요구 사항대로 개발할 수 있게 정리해주는 사람이 아니다.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은 요구 사항대로 개발할 수 있게 정리해주는 사람이 아니다.
Intro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어떤 직업인지 어설프게 아는 사람들은 현업(=B/U=Business Unit(마케팅, 영업, 사업부서 등))의 요구 사항을 정리해서 화면 기획서 만들고 개발자와 소통하는 사람
pmview.tistory.com
조직 내의 다양한 이해관계자(CEO, 사업조직, 영업조직, 마케팅조직, MD조직, 다른 PM 등)로 부터 Product에 대한 요구 사항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크게는 신규 서비스가 될 수 도 있고, 신규 기능을 추가해 달라는 요구 사항 그리고 작게는 조그마한 개선 사항이 있을 수 도 있다.
개선 사항 도출
앞서 언급한 리서치, 요구 사항 분석, 데이터 분석, 고객의 소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발견된 문제 혹은 고객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으로 Product의 개선사항을 도출해낸다.
기획서 작성
내가 속했었던 기업에서는 기획서를 PRD(Product Requirement Document)라고 불렀고, 현업의 요구사항을 정리한 문서를 BRD(Business Requirement Document)라고 불렀다.
Product Manager는 서비스를 기획하는 사람으로 기획서 작성이 일종의 결과물, 산출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게 이직할 때 포트폴리오(portfolio)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위 단계인 개선 사항 도출 단계 다음으로 진행하는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라면 모두 하는 주된 업무이다.
과거에는 PPT나 Word로 작성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요즘은 Product을 기획하고 개발하는(협업하는) Tool들이 많이 나와있다.
프로젝트 리딩(Project Leading)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과 Project Manager(역시 PM으로 줄여서 부르는 직무)는 전혀 다른 직무이다. Product 개발건에 대한 Project의 경우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리드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규모가 있는 Project의 경우 복수의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투입되기도 하며, 그럴 경우 한 명의 Project 리더가 정해진다. PM의 직무 특성상 Product에대한 전반적인 OwnerShip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리드하는 Case가 빈번하다. 그리고 규모있는(이해관계자가 많은) 프로젝트를 잘 리드 할 수 있는 능력을 PM의 능력치로 판단 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이유로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직무가 관리자로 성장하기 상대적으로 유리한면도 존재한다.
이해관계자 조율
Product에 대한 Project 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존재한다. Project의 규모가 크다는 말은 이해관계자가 많다는 것과 비례한다. 물론 필요한 개발(디자인, 기획 포함)리소스가 많은 것도 Project의 규모이다.
대표적인 이해관계자는 요구 사항을 제시하는 이해관계자 (사업, 마케팅, 영업 조직, C레벨의 리더 등), Product의 영향을 받는 부서(CS, 회계 조직 등), 그리고 해당 Project에 직접 참여하는 다른 PM이나 디자이너, 개발자, 데이터사이언티스트 등이 있다.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은 이러한 이해관계자들을 조율하여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QA(Quality Assurance)
QA는 쉽게말해 Product이 정상 작동하는지 TEST 하는 것이다. 신규로 개발한 것이 잘 개발되었는지, 기존서비스에는 이상이 없는지, 기획한대로 개발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잘 갖추어진 Tech기업들(네카라쿠배토당야)의 경우 대부분 QA조직이 별도로 있으나, QA조직에 전적으로 맡기는 것이 아닌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QA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관장하는 역할을 한다.
Product 운영
개발해서 Product이 런칭되면 다가 아니다. 고객으로부터의 문의 (1차 채널은 CS이지만) 혹은 BO(사업조직)에서의 문의, 오류사항에 대한 대처, 서비스에 영향도가 큰 설정, 사용 권한 등 Product가 운영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이슈사항을 Managing 한다. 잘 갖추어진 조직일수록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이 운영업무에 리소스를 적게 투입하지만 하나도 투입하지 않을 수는 없을 것이다.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은 Product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Product 지표(KPI) 정의 관리
방문자수, 회원 수, 거래액, 전환율, 검색 성공률 등 다양한 Product의 지표가 있다. Product을 기획하는 단계에서부터 해당 Product이 반영 될 경우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한다. 그리고 서비스를 운영하며 지속적으로 지표 Data를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건전성이나 성과를 판단하고 더 나은 지표가 나올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 역시 PM(Product Manager, 제품관리자)의 역할이다.
'Product Mana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duct 수명주기와 기술 수용주기 (1) | 2023.05.06 |
---|---|
PM(Product Manager)의 리서치 (0) | 2023.02.08 |
PM(Product Manager)은 요구 사항대로 개발할 수 있게 정리해주는 사람이 아니다. (1) | 2023.02.08 |
PM(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역량과 채용, 면접, 이력서 팁 (0) | 2023.02.05 |
PM(Product Manager)은 무얼하는 사람일까? 1편 'PM의 정의' (0)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