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외부 환경 분석 기법
- PEST 분석(PEST Analysis): PEST 분석은 정치적(Political), 경제적(Economic), 사회적(Social), 기술적(Technological) 요인을 평가하는 기법이다. 이 분석을 통해 조직은 정치적 변화, 경제적 동향, 사회적 문제, 기술적 혁신 등을 파악하여 조직의 전략과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환경 요인을 이해할 수 있다.
- 3C 분석(3C Analysis): 3C 분석은 고객(Customers), 경쟁업체(Competitors), 기업 자체(Company)를 평가하는 기법이다. 이 분석은 조직이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고 경쟁 업체와의 차별화를 실현하며, 자체적인 강점과 약점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 5 Forces 분석(Five Forces Analysis): 5 Forces 분석은 경쟁 산업의 경쟁 구도를 평가하는 기법이다. 이 분석은 산업 내의 경쟁 업체, 신규 진출 위협, 대체 제품 및 서비스 위협, 공급 업체의 협상력, 구매자의 협상력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산업의 경쟁력과 수익성을 평가한다.
- 전략적 그룹 분석(Strategic Group Analysis): 전략적 그룹 분석은 산업 내의 다양한 경쟁 업체들을 유사한 전략, 목표, 경쟁력을 가진 그룹으로 분류하는 기법이다. 이 분석은 경쟁 업체 간의 경쟁 관계와 시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경쟁 그룹의 특성과 동향을 파악하여 조직의 경쟁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PEST 분석
- 정치적 요인(Political Factors): 정치적 요인은 정부의 정책, 법규제, 정치적 안정성, 정치적 결정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산업 관련 법규제의 변경이나 정부의 세금 정책은 조직의 활동과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정치적 안정성이나 정치적 결정은 시장의 예측 가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경제적 요인(Economic Factors): 경제적 요인은 경기 상황, 인플레이션, 이자율, 환율, 소비자 구매력 등을 포함한다. 경제적 요인은 시장의 크기와 성장률, 수요와 공급 조건, 가격 경쟁력 등을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경기 침체, 화폐 가치 변동, 소비자 지출 패턴 변화 등은 조직의 수익과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사회적 요인(Social Factors): 사회적 요인은 인구 특성, 생활양식, 가치관, 소비자 행동 등을 포함한다. 사회적 요인은 시장의 성장 동향, 소비자 선호도, 트렌드와 모드 등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구 구성의 변화, 문화적 차이, 윤리적 가치 변화 등은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요구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다.
- 기술적 요인(Technological Factors): 기술적 요인은 기술 혁신,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 자동화 등을 포함한다. 기술적 요인은 산업의 변화와 혁신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술의 발전은 제품과 서비스의 개선, 생산성 향상, 시장 접근성 확대 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기술의 변화는 산업의 경쟁 구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3C 분석
- Customers (고객): Customers는 조직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고객을 의미한다. 3C 분석에서는 고객의 Bedrock, Buying process, Benefits, Barriers 등을 평가한다.
- Bedrock (기반): 고객 그룹의 특성과 행동 패턴을 이해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목표 고객층을 식별하고 그들의 요구와 욕구를 파악할 수 있다.
- Buying process (구매 과정): 고객의 구매 과정과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고객의 구매 동기와 구매 과정에서의 고려 요소를 이해하여 마케팅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
- Benefits (이익):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과 가치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 제안을 개선하고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 Barriers (장벽): 경쟁 업체나 기타 요소로 인해 고객의 구매를 방해하는 장벽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경쟁 업체와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고 고객의 구매 장벽을 낮출 수 있다.
- Competitors (경쟁업체): Competitors는 조직과 동일한 시장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 업체를 의미한다. 3C 분석에서는 경쟁 업체의 Capabilities, Competitive positioning, Competitive advantage 등을 평가한다.
- Capabilities (역량): 경쟁 업체의 핵심 역량과 경쟁 우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경쟁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한 자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 Competitive positioning (경쟁 포지셔닝): 경쟁 업체와의 상대적 위치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경쟁 업체와의 경쟁 전략을 수립하고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 Competitive advantage (경쟁 우위): 경쟁 업체와 비교하여 조직의 경쟁 우위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자체의 핵심 역량을 활용하여 경쟁 업체들과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 Company (기업 자체): Company는 자체 조직의 역량과 리소스를 평가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자체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3C 분석에서는 조직의 자원, 능력, 기회, 위협 등을 평가한다.
- 자원(Resource): 조직이 보유한 물리적, 재정적, 인적, 지식 등의 자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자체의 강점을 식별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 능력(Capabilities): 조직의 핵심 역량과 경영 능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자체의 역량을 활용하여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갖출 수 있다.
- 기회(Opportunities): 조직이 활용할 수 있는 시장의 기회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시장의 성장 영역을 식별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 위협(Threats): 조직을 위협하는 외부 요인을 분석한다. 경쟁 업체의 행동, 시장 변동성, 기술적 변화 등을 고려하여 조직은 위험을 인식하고 대비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5 forces 분석
- Industry Rivalry (산업 경쟁): 산업 내 경쟁 업체들 간의 경쟁 정도를 평가한다. 이는 가격 경쟁, 제품 라인의 다양성, 마케팅 전략 등을 포함한다. 경쟁이 치열하고 진입 장벽이 낮은 경우, 산업 경쟁은 더욱 강해질 수 있다.
- Threat of New Entrants (신규 진입 위협): 새로운 업체가 산업에 진입할 가능성을 평가한다. 이는 진입 장벽, 기존 기업의 경쟁력, 정부 규제 등을 고려한다. 진입 장벽이 높고 기존 기업들이 경쟁 우위를 유지하는 경우, 신규 진입 위협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 Bargaining Power of Suppliers (공급 업체의 협상력): 공급 업체가 가격, 품질, 공급량 등을 협상할 수 있는 정도를 평가한다. 공급 업체의 협상력이 강력할수록 산업 내 기업들은 제약을 받을 수 있다.
- Bargaining Power of Buyers (구매자의 협상력): 구매자가 가격, 품질, 서비스 등을 협상할 수 있는 정도를 평가한다. 구매자의 협상력이 강력할수록 산업 내 기업들은 가격을 낮추거나 추가 가치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 Threat of Substitute Products or Services (대체품 혹은 대체 서비스의 위협): 대체품이나 대체 서비스가 산업 내 제품이나 서비스를 대체할 가능성을 평가한다. 대체품이나 대체 서비스의 위협이 높을수록 산업 내 기업들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혁신과 차별화를 추구해야 한다.
전략적 그룹 분석 (Strategic Group analysis)
- 산업 내 기업들의 선정: 분석하고자 하는 산업 내의 기업들을 선정한다. 이때, 기업의 규모, 제품 라인, 시장 지역, 경쟁 전략 등을 고려하여 기업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 기업들 간 유사성 평가: 선정된 기업들을 기준으로 유사한 전략, 경쟁력,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는 그룹들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기업들의 제품, 가격, 마케팅 전략, 타깃 고객, 유통 채널 등을 분석한다.
- 그룹 간 비교 분석: 형성된 그룹들 간의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이때, 기업들의 장점, 약점, 경쟁 우위, 시장 점유율, 수익성 등을 평가하여 그룹 간의 차이와 유사성을 파악한다.
- 경쟁 그룹의 특성 파악: 각 경쟁 그룹의 특성을 파악한다. 이는 그룹 내 기업들의 경쟁 전략, 고객 세그먼트, 제품 포트폴리오, 시장 점유율 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각 그룹의 경쟁 우위와 산업 내 위치를 이해할 수 있다.
- 전략 수립과 조정: 전략적 그룹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은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경쟁 그룹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경쟁 전략을 수립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경쟁 그룹들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자신의 경쟁 우위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
반응형
'PM이 바라본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 스터디 - M&A Merger(합병)과 Acquisition(인수) (3) | 2023.05.26 |
---|---|
PM 스터디 - 내부 환경 분석 기법 (8) | 2023.05.24 |
PM 스터디 - OKR(Objective & Key Result) 목표 관리 방법론 (4) | 2023.05.22 |
PM 마케팅 스터디 - 필립 코틀러의 다섯가지 마켓의 단계 (9) | 2023.05.21 |
PM 경영전략 스터디 - '성장 전략'과 '경쟁 전략' (6) | 2023.05.20 |
댓글